미국은 확실히 부유한 나라입니다. 여러 면에서 한국 보다 좋은 곳이죠. 맞습니다. 헌데 동시에, 물질과 돈이 우상이 될 수 밖에 없는 극도의 자본주의 국가이기도 합니다. 기독교 국가라는 포장지를 가지고 있지만 굉장히 세속적인 국가지요. 물론 그렇기에 복음을 따르는 이들이 많은 나라이기도 합니다.
도움을 당당히 주고 받기

나누고 받는 것에 대한 당당함과 자유로움. 이런 태도가 내게 생긴 것은, 신앙을 통해 복음의 기쁨이 나를 자유롭게 하면서 부터 시작되었다. 도움을 받는 것은 빚을 지는 것 같고, 남에게 부담을 주는 것 같다고 여겼지만.. 반대의 입장에 있을 때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은 애덕을 행하고 선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개별적 존재가 아니라, 함께 공존해 나아가야 하는 존재라는 것을 깨우치게 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계산하지 않고 따름

바르티매오에게서 내 모습을 본다. 어둠에 빠져 눈이 멀어 빛을 볼 수 없었고, 사랑에 굶주린 거지였던 과거의 나. 바르티매오에게 잠자코 있으라 꾸짖은 사람들처럼, 사랑 보다는 비난과 무시 그리고 많은 상처들이 따라 왔었다.
성에 관한 인식의 왜곡

‘남자는 성욕을 참을 수 없는 존재’라는 인식이 점점 당연시 되는 거 같다. 놀라운 것은, 어떤 ‘아내’들이 남편의 성욕 해소에 자신이 적극적일 수 없어서 남편에게 ‘성매매’를 권장하는 경우도 있다더라. 남편이 회식에서 술에 취해서 아가씨들이랑 거시기 하는 것에 대해, 박수치며 반기는 건 아니지만 ‘남자는 애초에 참지 못해서 이해할 수 있다’는 말도 안되는 ‘남자짐승설’을 믿는 사람들이 요즘 왜 […]
산 바람 하느님 그리고 나

어찌나 몰입이 쉽던지 한달음에 읽을 뻔했다. 허나, 육아는 긴 집중을 허락치 않았다. 뭐- 어쨌거나 여정을 마쳤다. 내가 나기 전 시대의 젊은이지만, 믿음에 시간이 무슨 소용! 지난 20대 시절의 씨름하던 여정의 일기를 보는 느낌이라 더 정겹고 가깝게 공감하며 또 탄식하며, 한수 배우며 그렇게 완독했다. 여정이란 표현이 정확하다. 이것은 여정이었다. 짧지만 친한 친구와 함께 수다 떨며 걷는 […]
선교는 증거하는 것

얼마전 한 기사를 봤다. 예전부터 그랬기에 놀랄 일은 아니지만, 여전히 그렇기에 놀라웠다. 신앙이 미흡해서 선교하지 않는게 아니라, 신앙을 개인의 차원으로만 두고 있기에 선교의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여기는 단순하지 않은 이유들이 얽혀있을 거다. 내 경험으로는 대체적으로 선교를 할 자신(능력)이 없어서.. 혹은, 신앙을 강요하는 것 같아서..라는 반응들이 컸다. 많은 경우, 선교는 성직자나 수도자 혹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