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 때문에, 복음 때문에, 세상에서 박해를 받아야 하는데. 예수님을 따르지 않아서, 복음을 살지 않아서, 세상에서 무시와 비난을 받는다면. 그저 내 ‘마음 편한’걸로 끝이라면, 그곳은 천국일까? 우리의 신앙은 무슨 의미일까?
허술함을 기적으로, 끝까지 책임지시는 주님

우리 삶의 허술함, 나약함, 때로는 위기와 같은 순간이. 하느님의 기적이 계시되는 놀라운 통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선 그런 순간들과 계시를 이어줄 매개체가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믿음을 지닌 이들’의 삶이 아닐까. 복음 속 어머니 마리아에게서 그 삶의 모범을 본다.
지나친 기대와 희망

때론 간절함이, 절박함이, 눈을 가리고 무엇이든 붙잡게 만든다. ‘일단 살고보자’라며. 기다리지 못하고 내 손으로 만들어 낸다. 그래선 안될텐데 깨어있지 못하게 한다.
성가정이란, 예수를 찾아다니는 가정

성가정이란, 가족이 모두 세례를 받은 가정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번 복음에서 발견하는 성가정의 예시는, 예수님을 찾아다니는 모습이다. 어디에 있는지 알 길이 없지만, ‘찾을 때 까지’ 계속 그분을 찾아다닌다. 분명한 건, 그분은 성전. 바로 우리 가운데 계신다. 예수님을 찾아다니지 않는다면, 그분을 우리 안에서 찾아내지 못한다면, 성가정을 지향하는 의미가 또 무엇이 있을까!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그분은 인간 아기로 오신 것처럼 여전히 비천한 인간 육신으로 오신다. 더럽고 초라하고 보잘것 없는 구유. 나, 바로 나라는 살덩이로 육화되어 오신다. 머물곳이라고는 누추함 뿐인데, 그 마저도 괜찮다시며 내 안에 오신다. 언제쯤 그분께 괜찮은 방 하나 내어 드릴 수 있을까.
호칭이 나를 대신해줄 순 없다.

그러고보면, 한국에서는 순수한 개인의 존중보다, 역할이나 지위에 따르는 호칭이 굉장히 중요하다. 호칭은 ‘내가 누구인지’를 드러내는데 그것으로 서로 간의 지위를 암묵적으로 인식하고 거기에 맞게 태도를 취한다. 어찌보면, 평등한 인격적 관계는 아닌거다. 심하게.